맨위로가기

이유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유는 후한 말기의 인물로, 황건적의 난 당시 조전 현령에 의해 조정에 천거되어 박사로 임용되었다. 동탁이 소제를 폐위하고 홍농왕으로 내쫓은 후, 이유의 손에 의해 독살당했다. 이후 이각에게 시중으로 천거되었으나, 헌제에게 처벌받을 위기에 놓였지만 이각의 변호로 목숨을 건졌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동탁의 사위이자 책사로 등장하여 동탁의 주요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그려지며, 동탁 사후 왕윤에 의해 처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탁과 주변 인물 - 왕윤
    왕윤은 후한 말 관료로서 동탁 암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황건적의 난 진압에도 공을 세웠으나, 동탁 제거 후 잔당의 반란으로 헌제를 지키다 가족과 함께 죽임을 당한, 뛰어난 능력과 충절에도 불구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동탁과 주변 인물 - 여포
    여포는 후한 말, 뛰어난 무용을 지녔으나 변덕과 배신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은 무장으로, 정원과 동탁을 배신하고 여러 군벌을 전전했으며 조조에게 패배해 처형당했고,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맹장으로, 초선과의 로맨스와 함께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된다.
  • 산시성 (섬서성) 출신 - 반초
    반초는 후한 시대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서역 경영에 크게 기여하고 실크로드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 산시성 (섬서성) 출신 - 린리궈
    중국 공산당 간부 린뱌오의 아들 린리궈는 문화대혁명 중 공군에서 급속히 승진했으나 마오쩌둥 암살 계획에 연루되어 린뱌오 일가와 함께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는 중국 정부 발표와는 달리, 그의 역할과 사건 진상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군주 시역자 -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불가리아 출신으로, IMRO에서 활동하며 우스타샤와 협력하여 유고슬라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1세를 암살하고 체포 과정 중 사망했다.
  • 군주 시역자 - 리키메르
    리키메르는 5세기 서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서 게르만계 군사령관이었으며, 여러 황제를 꼭두각시로 내세워 권력을 행사하고 반달족과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안테미우스와의 갈등 끝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이유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여
한자 표기李儒
로마자 표기I Yu
문우(文優)
출생지하양현(河陽縣)
직업관료, 조언가
관직 정보
관직시중(侍中)
임기 시작192년
군주헌제
관직 1홍농국 낭중령(弘農郎中令)
임기 시작 1189년
임기 종료 1192년
군주 1헌제
재상 1동탁

2. 생애

이유(李儒)는 산시성 하양현에 속하는 좌풍익(左馮翊) 하양현(郃陽縣) 출신이다. 그는 189년부터 192년까지 동탁이 한나라 중앙 정부와 허수아비 헌제를 장악했을 때 홍농군의 낭중령(弘農郎中令)을 지냈다.

2. 1. 초기 활동

광화 7년(184년), 태평도 교주 장각황건적의 난을 일으켰다. 합양의 곽가(郭家)도 이에 동조하여 반란을 일으켜 성과 관청을 불태웠는데, 현령 조전(曹全)은 반란을 진압하고 현의 학자인 이유·난규(欒規)·정인(程寅)을 조정에 천거하였다. 박사(博士)로 임용된 이유는 이듬해 기무(岐茂)·상량(商量)·사마집(司馬集) 등과 함께 조전의 공적을 기리는 비를 세웠다.[5]

초평 원년(190년), 동탁유변을 폐위하고 홍농왕으로 내쫓은 뒤, 홍농낭중령 이유에게 유변을 시해하도록 명하였다. 이유는 유변에게 병이 나을 것이라며 약을 바쳤고, 유변은 독약임을 알았으나 억지로 권하는 통에 결국 약을 마시고 죽었다.[1][2]

초평 3년(192년), 동탁이 주살된 후 정권을 잡은 이각은 이유를 시중(侍中)으로 천거하였다. 헌제는 이유가 유변을 시해한 일을 들어 벌을 내리려 하였으나, 이각은 이유가 동탁의 명령을 따른 것뿐이라며 변호하였다.[3]

2. 2. 동탁의 책사

동탁이 낙양에 들어섰을 때, 이유는 이미 조정에 출사하여 홍농왕(소제) 유변의 낭중령을 맡고 있었다. 190년 3월, 동탁은 이유를 보내 폐위된 홍농왕 유변을 독살했다.[1][2][4]

2. 3. 동탁 사후

192년 5월 동탁이 죽은 후, 이유는 동탁의 옛 부하인 이각 휘하에서 일했다. 192년 겨울, 이각은 이유를 시중으로 추천했지만, 헌제는 이를 거부하며 "(이)유는 원래 유변 (폐위된 소제)을 죽였으니 벌을 받아야 마땅하다"라고 말했다. 이에 이각은 이유를 변호하며 "동탁의 명령을 따르려는 것은 이유의 의도가 아니었다. 죄 없는 자를 벌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3]

동탁이 낙양에 들어섰을 때 이미 조정에 출사하여 홍농왕(소제) 유변의 낭중령을 맡고 있었으며, 동탁의 명을 받아 폐위된 홍농왕에게 독약을 먹여 살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

동탁을 살해한 왕윤 등을 토벌한 이각에게서 시중으로 추천되었다. 그러나 일찍이 이복 형을 이유에게 시해당한 일로 헌제로부터 "시역의 죄"로 숙청될 위기에 처했으나, 이각의 주선으로 목숨을 건졌다[5]

『한합양령 조전기공비』(조전비)는 사례・풍익군합양현의 현령 조전을 칭찬하기 위해 185년에 세워진 것인데, 그곳에 동현의 학자로서 징박사의 이유(자: '''문우''')가 보이며, 『후한기』에 이유가 박사였다는 기록이 보이므로[5],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3. 《삼국지연의》 속 이유

이유는 삼국지연의에서 정사와 달리 동탁의 사위이자 학식이 뛰어난 젊은이로 등장한다. 실제 역사에서는 가후가 동탁의 책사였으나, 삼국지연의에서는 이유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1] 이유는 동탁의 지시를 받들어 폐위된 소제와 소제의 어머니 하(何)태후에게 짐독이 든 술을 마시도록 강요했고, 거부당하자 하태후를 직접 죽이고 부하에게 소제를 죽이게 했다.[1]

반동탁 연합군이 결성된 후, 원소의 숙부인 태부 원외를 죽인 일, 연합군의 공격을 피해 낙양에서 장안으로 천도한 일, 낙양에 불을 지른 일, 단독으로 동탁을 추격하던 조조를 물리친 일 등은 모두 이유의 건의로 실행된 것으로 묘사된다.[1]

3. 1. 주요 계책

이유는 동탁의 주요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다음은 소설에서 묘사된 이유의 주요 계책이다.

계책내용결과
소제 폐위 및 헌제 옹립동탁에게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하도록 설득.[1]소제와 하태후에게 짐독이 든 술을 마시도록 강요, 거부하자 하태후를 직접 죽이고 소제를 살해.[1]
낙양 천도 및 방화반동탁 연합군의 공격을 피해 수도를 낙양에서 장안으로 옮기고, 낙양에 불을 지르도록 건의.[1]낙양 소실, 조조군 격퇴.[1]
여포 회유동탁에게 여포가 정원으로부터 동탁의 편으로 귀순하도록 설득.[1]여포가 동탁의 편에 섬.[1]
초선 관련 조언왕윤이 보낸 초선 때문에 동탁과 여포의 갈등이 깊어지자, 절영지연 고사를 들어 초선을 여포에게 넘기라고 조언.[1]초선의 반대로 실패.[1]



이유는 왕윤연환계도 간파하여 여포와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동탁을 간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우리 모두는 여자(초선)의 손에 죽는 것인가"라며 한탄했다.[1]

3. 2. 최후

왕윤이 보낸 초선 때문에, 동탁과 여포 사이에는 갈등이 깊어졌다. 급기야 동탁이 창을 들고 여포를 쫓아가는 상황까지 발생하였다. 이때 이유는 절영지연 고사를 이야기하며, "초선은 수많은 시녀 중에 하나지만 여포는 하나뿐인 장군이다"라면서 초선을 여포에게 넘기라고 동탁에게 조언한다. 동탁은 그 말이 맞다고 생각하였고, 여포에게 가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초선에게 물었는데, 초선이 칼을 들고 자결하려 할 정도로 반대하여, 이유의 조언은 효과를 내지 못했다.[1]

동탁이 죽임을 당한 후, 이유는 집안 하인들에게 붙잡혀 왕윤에 의해 처형되고 저자에 목이 내걸렸다.[1] 왕윤은 이유를 거열형에 처했다.[3]

참조

[1] 서적 Houhanshu
[2] 서적 Zizhi Tongjian
[3] 서적 Hou Han Ji
[4] 서적 後漢書
[5] 서적 後漢紀
[6] 서적 한관의(漢官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